티스토리 뷰
🥇 Gold
1707 이분 그래프
문제 요약
그래프의 정점 집합을 두개로 분할하여, 각 집합에 속한 정점끼리는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분할할 수 있을 때, 이분 그래프라고 부른다. 그래프가 주어졌으 ㄹ때, 이분그래프인지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야한다.
알고리즘
- 정보를 입력받고, 테스트케이스만큼 반복한다.
- 그래프를 무방향 그래프로 입력받는다. (양방향 간선)
- 전체 노드에 대해 bfs를 탐색하며 이분 그래프인지 판별한다.
- 결과를 출력한다.
접근방법
- 우선 나는 문제를 보고 이분 그래프의 정확한 정의를 알지 못했다. (그래프에 사이클이 있는가를 확인하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 위키에 이분 그래프의 정의를 보면 다음과 같이 나와있다.
- "모든 꼭짓점을 빨강, 파랑으로 색칠하되, 모든 변이 빨강과 파랑 꼭짓점을 포함하도록 색칠할 수 있다."
- 즉, ㅇ-ㅇ 라는 두 개의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의 입장에서 한 쪽은 빨간색, 다른 한 쪽은 파란색으로 칠할 수 있어야한다는 것이다.
- 코드 관점으로 생각해보자면 visited[here]과 visited[next]의 값이 달라야함을 알 수 있다.
- 주의해야할 점은 하나의 그래프로 주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 즉, 전체 노드를 방문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나는 현재 tree의 key를 기반으로 탐색하고 있다. 그래서 테스트케이스에서 반드시 트리를 빈 딕셔너리로 한 번 초기화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는 v를 따로 저장해서 bfs를 수행해도 괜찮다)
- visited를 -1로 초기화한 이유
- 나는 원래 visited[0]으로 방문하지 않았음을 표기했다.
- 이전과는 다르게 visited 배열에 3가지 정보를 저장해야한다. (아직 방문 안 함, 빨간색, 파란색)
- 나는 이것을 -1, 0, 1로 표기해서 모듈러 2를 통해 here과 next를 쉽게 표기하고자 한 것이다!
코드
let testCase = Int(readLine()!)!
var tree = [Int: [Int]]()
var visited = [Int]()
for _ in 0 ..< testCase {
var flag = true
getInformation()
for node in tree.keys {
if node == 0 { continue }
if visited[node] == -1 {
guard bfs(node) else {
print("NO")
flag = false
break
}
}
}
if flag { print("YES") }
}
// 문제에서 주어지는 정보를 입력받음
func getInformation() {
let input = readLine()!.split { $0 == " " }.map { Int($0)! }
let (v, e) = (input[0], input[1])
tree = [Int: [Int]]() // 이거 없으면 런타임 에러. (이전 키 값이 트리에 저장되어 있음)
Array(0...v).forEach { tree[$0] = [] } // dictionary 초기화
for _ in 0 ..< e {
let input = readLine()!.split { $0 == " " }.map { Int($0)! }
let (u, v) = (input[0], input[1])
tree[u]!.append(v)
tree[v]!.append(u)
}
visited = [Int](repeating: -1, count: v + 1)
}
func bfs(_ n: Int) -> Bool {
var queue = [n]
visited[n] = 0
var index = 0
while queue.count > index {
let here = queue[index]
index += 1
guard let child = tree[here] else { continue }
for next in child {
// visited[here]과 visited[next]가 같다면 이분그래프가 아님
// here는 방문처리가 되어있으므로 -1과 같을 수 없음
guard visited[here] != visited[next] else { return false }
// 현재 상황은 here과 next의 visited 값이 다른 상황임.
// 즉, next는 here과 색상이 다르거나, 아직 방문하지 않은 상황
// 아직 방문하지 않은 경우만 queue에 삽입한다.
guard visited[next] == -1 else { continue }
visited[next] = (visited[here] + 1) % 2
queue.append(next)
}
}
// ㅇ-ㅇ에서 한 번도 같은 색을 칠한 적 없다면 true를 반환한다.
return true
}
'Algorithm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 1463 1로 만들기 (0) | 2023.03.22 |
---|---|
[Swift] 2839 설탕배달 (0) | 2023.03.22 |
[Swift] 2206 - 벽 부수고 이동하기 (0) | 2023.03.18 |
[Swift] 10448 유레카 이론 (0) | 2023.03.16 |
[Swift] 11725 - 트리의 부모 찾기 (4) | 2023.03.14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코드업
- Swift
- replit
- 시간초과
- Code up
- CodeUp
- COMMIT
- for문
- 설명
- do while
- 파이썬
- 16진수 입력
- 레플릿
- 코드 업
- 부르트포스
- 프로그래머스
- ord
-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 깃허브
- baekjoon
- 기초 100제
- 리플릿
- 반복문
- 깃
- python
- level1
- 백준
- 정답
- SwiftUI
- CH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