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시저암호 (프로그래머스)
문제를 보시려면 클릭하세요
문제 설명
어떤 문장의 각 알파벳을 일정한 거리만큼 밀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꾸는 암호화 방식을 시저 암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는 1만큼 밀면 "BC"가 되고, 3만큼 밀면 "DE"가 됩니다. "z"는 1만큼 밀면 "a"가 됩니다. 문자열 s와 거리 n을 입력받아 s를 n만큼 민 암호문을 만드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
제한 사항
|
입출력 예
![]() |
나의 코드
def solution(s, n):
answer = ''
for i in s:
if i == " ":
answer += " "
else:
k = chr(ord(i) + n)
if k.isupper() != i.isupper() or not k.isalpha():
k = chr(ord(k) - 26)
answer += k
return answer
문제 설명
1) 기본 설명
- 프로그래머스에서 제공하는 기본 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def solution(s, n):
answer = ''
return answer
2) 문제 다가가기
(1) 아스키코드 값을 n만큼 더하여 문자로 치환한다.
(2) 단, 공백은 그대로 표현된다
(3) 만약 문자가 Z이고, 10을 더한다면 J 가 나와야됩니다.
3) 코드 설명
우선 이 문제를 풀기 전 반드시 알아두어야하는 파이썬의 내장함수가 있습니다.
- ord(문자) :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반환한다.
- chr(아스키코드) : 아스키코드 값을 반환한다.
(1) 문자열 탐색 및 공백 처리
def solution(s, n):
answer = ''
for i in s:
if i == " ":
answer += " "
문자열 s를 보고 문자 하나씩 탐색해나갑니다.
만약, i(문자)가 공백문자열이라면, 결과에 공백 문자열을 더해줍니다.
(2) 아스키코드 처리
else:
k = chr(ord(i) + n)
if k.isupper() != i.isupper() or not k.isalpha():
k = chr(ord(k) - 26)
answer += k
return answer
- 만약 문자가 공백이 아닐 경우 (else문으로 들어옵니다)
- 임시 변수 k에 i의 아스키 코드값을 구한 후 n을 더해주고 이를 다시 문자로 변환합니다.
-> k = 임시 변수
-> ord(k) + n : k의 아스키 코드 값에 n을 더해줌
-> chr(ord(k) + n) : 다시 문자로 바꾸어줌.
- 임시변수 k에는 두가지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else 문 내에 if 문으로 처리
(1) k가 특수문자인 경우 (대소문자의 범위에서 벗어남)
(2) 기존 문자는 대문자이지만, n을 더한 k가 소문자가 된 경우
-> 아스키코드 표에서 문자 = Z, n =10인 경우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처리방법)
- 만약 현재 문자 i는 대문자인데, k가 소문자인 경우, 또는 k가 알파벳이 아닌 경우
-> k에서 26(알파벳의 개수)만큼 빼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i = Z, n = 10일 때를 생각해보겠습니다.
-> i에 n을 더하면 k는 d가 됩니다. 이때 k.isalpha는 참이지만, 앞 조건이 거짓이 됩니다.
-> k에서 26을 빼 주면 J가 됩니다.
-> Z에서 10을 더하면 J가 됩니다!!!
➕제 깃허브 들어오시면, 설명은 없지만 다른 문제들의 코드를 볼 수 있습니다.
GitHub - JIWON1923/Algorithm: studying algorithm with python
studying algorithm with python. Contribute to JIWON1923/Algorith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