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Python] Programmers

[Python]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프로그래머스)

내일은개발천재🎵 2021. 12. 22. 23:43

문제를 보려면 클릭하세요

더보기

문제 설명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로또를 구매한 민우는 당첨 번호 발표일을 학수고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민우의 동생이 로또에 낙서를 하여, 일부 번호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당첨 번호 발표 후, 민우는 자신이 구매했던 로또로 당첨이 가능했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알아보고 싶어 졌습니다. 
알아볼 수 없는 번호를 0으로 표기하기로 하고,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 6개가 44, 1, 0, 0, 31 25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당첨 번호 6개가 31, 10, 45, 1, 6, 19라면,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의 한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당첨 번호    31     10       45   1      6       19   결과 
최고 순위    31   0->10   44   1   0->6   25   3등
최저 순위    31   0->11   44   1    0->7   25   5등
  • 순서와 상관없이, 구매한 로또에 당첨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있으면 맞힌 걸로 인정됩니다. 
  •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0, 6이라고 가정하면 3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 3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2등 이상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1, 7이라고 가정하면 5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 5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6등(낙첨)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를 담은 배열 lottos, 당첨 번호를 담은 배열 win_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lottos는 길이 6인 정수 배열입니다.
  • lottos의 모든 원소는 0 이상 45 이하인 정수입니다.
    • 0은 알아볼 수 없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 0을 제외한 다른 숫자들은 lottos에 2개 이상 담겨있지 않습니다.
    • lotto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win_nums은 길이 6인 정수 배열입니다.
  • win_nums의 모든 원소는 1 이상 45 이하인 정수입니다.
    • win_nums에는 같은 숫자가 2개 이상 담겨있지 않습니다.
    • win_num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입출력 예


나의 코드 1

def solution(lottos, win_nums):
    result = 0
    
    cnt = lottos.count(0)
    if cnt != 0:
        lottos.remove(0)
    
    for num in lottos:
        if num in win_nums:
            result += 1
            
    best = 7 - (result + cnt) if 7-(result + cnt) <= 6 else 6
    worst = 7 - result if (7-result) <= 6 else 6
    answer = [best, worst]
    
    return answer

나의 코드 2

def solution(lottos, win_nums):

    cnt = lottos.count(0)
    result = len(set(lottos).intersection(set(win_nums)))

    best = 7 - (result + cnt) if 7 - (result + cnt) <= 6 else 6
    worst = 7 - result if (7 - result) <= 6 else 6
    answer = [best, worst]

    return answer

문제 설명

1) 기본 설명

- 프로그래머스에서 제공하는 기본 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def solution(lottos, win_nums):
	answer = 0
    return answer

=> 여기 lottos에 내가 선택한 번호, win_nums에 로또 당첨번호 정보가 들어오게 되는 것입니다.


2) 문제 다가기기

lottos : 실제로 제가 1, 2, 3, 4, 5, 6 이라는 번호를 선택했고, 이 중 x개의 번호 정보를 모르는 상태입니다!

그럼 x를 2개 라고 가정하고, 1, 2, _ , 4, _ , 6 이 번호만 알고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 lottos에는 1, 2, 0, 4, 0, 6 이라고 들어옵니다.

1, 2, 4, 6 이 번호만 가지고 당첨 번호와 맞는 개수를 비교합니다.

이후 최고 순위와 최저순위를 계산하면 되는데요, 

최고순위는 x개의 번호 (2개)가 모두 다 맞았을 경우고, 최저 순위는 x개의 번호가 모두 다 틀렸을 경우이겠죠 ?

이 생각으로 접근하면 코드를 작성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3) 코드 설명

(1) 내가 모르는 번호의 개수 찾기 (x가 몇개인가 ?)

cnt = lottos.count(0)

내가 모르는 번호 => 0으로 저장되어 들어옵니다. 0의 개수를 찾는 count 함수를 사용했습니다.


(2) 내가 알고있는 로또 번호 찾기 

if cnt != 0:
	lottos.remove(0)

내가 정확히 알고있는 로또번호는 0을 제외한 lottos겠죠 ?

만약, 리스트에 0이 없을 때, remove 함수를 쓰게 되면 ValueError: list.remove(x): x not in list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cnt가 0이 아닐 때에만 (리스트에 0이 없는 경우는 cnt == 0) 0을 제거하도록 합니다.


(3) 내가 알고있는 번호 중 몇개가 맞았는지 확인하기

for num in lottos:
	if num in win_nums:
		result += 1
        win_nums.remove(num)

2번 과정을 거쳤으니 lottos에는 내가 알고 있는 번호만 저장되어 있습니다. 

for문을 통해서 원소를 하나씩 검색해줍니다.

win_nums에 해당 원소가 있다면, result 값을 1씩 증가시킵니다. (1, 2, 4, 6 이 번호만 가지고 당첨 번호와 맞는 개수를 비교합니다. 이 과정입니다.)

즉, result에 당첨 번호와 일치한 경우의 개수를 저장해주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set의 intersection (교집합)을 이용하면 더 짧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코드2 참고


(4)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계산하기

best = 7 - (result + cnt) if 7-(result + cnt) <= 6 else 6
worst = 7 - result if (7-result) <= 6 else 6
answer = [best, worst]

[1] 맞은 개수 구하기

최고로 맞은 개수 = result + cnt : (맞은 내 번호 + x의 개수)

최저로 맞은 개수 = result (맞은 내 번호! x가 모두 틀렸으니까)


[2] 순위 계산

당첨 내용 순위
6개 일치 1등
5개 일치 2등
4개 일치 3등
3개 일치 4등
2개 일치 5등
그 외 낙첨

우선 출력을 위해서 단순히 switch case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위 표를 보시면 규칙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당첨 내용 + 순위 = 7이네요! 

그럼 7에서 당첨 내용을 빼면? 순위를 구할 수 있네요!!!

그런데, 위 로직으로 작성하면! 7개 모두 틀렸을 때 순위가 몇등으로 나올까요 ? 7-0 = 7등이 나옵니다.

이 부분을 예외처리 하기 위해 삼항연산자를 사용했습니다.


best = 7 - (result + cnt) if 7-(result + cnt) <= 6 else 6​

best : 최고 순위를 담을 변수입니다. 

result + cnt = 최고로 많이 맞았을 경우의 개수입니다.

7 - (result + cnt) = 최고 순위가 되겠네요.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나요 ?

if 7-(result + cnt) <= 6:
	best = 7 - (result + cnt)
else:
	best = 6

이것을 삼항연산자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 부분이 이해가 어려우시다면 삼항연산자 공부 추천드립니다!)

 

[ 6063, 6064 ] 코드업 python 기초 100제, 기초-3항연산

< 6063 > 정수 2개 입력받아 큰 값 출력하기 a,b = map(int, input().split()) print (a if (a>b) else b) 📌 a > b이면 a 를 출력하고, 아니라면 b를 출력하라.  -> a가 b보다 크면 a를 출력, b가 더 크면 b를..

zest1923.tistory.com


이후 best, worst를 answer에 담아 return 하면 끝입니다!

 

 

제 깃허브 들어오시면, 설명은 없지만 다른 문제들의 코드를 볼 수 있습니다.

 

GitHub - JIWON1923/Algorithm: studying algorithm with python

studying algorithm with python. Contribute to JIWON1923/Algorith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