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Baekjoon

[Swift] 10448 유레카 이론

내일은개발천재🎵 2023. 3. 16. 10:14

10448 유레카 이론

문제로 이동

문제 요약

자연수 N에 대해 삼각수 $$Tn = 1 + 2 + 3 ... + n = n(n+1)/2$$ 공식이 성립된다.

모든 자연수가 최대 3개의 삼각함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구 증명하였는데, 몇 자연수는 정확히 3개의 삼각함수로 표현될 수 없다.

정수가 주어졌을 때, 삼각수인지 판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해야한다.

알고리즘

  1. 삼각수가 모여있는 집합을 만든다.

  2. 삼각수 집합을 이용하여 순서 없이 중복 허용된 요소 3개를 뽑아 더한다.

  3. 해당 자연수는 3개로 표현할 수 있는 자연수이다. 이를 result 배열에 1로 저장한다.

  4. 입력받은 정수를 x라 할 때, result[x]를 출력한다.

    result 배열에는 유레카 정수인 경우만 1로 저장돼있다.

접근방법

  1. 수학적 공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는 규칙을 찾지 못했다.

  2. 무식하게 풀 수 있는지 생각해보았다.

  3. 삼각수를 찾고, 3개의 원소를 뽑는 경우의 시간 복잡도를 구해보자.

    N은 최대 1000이므로, 삼각수를 구하는데에 최대 1000 이하가 소요된다. (실제로는 46)

    중복 허용으로 3개를 뽑는 경우는 44 * 43 * 42 / 3이므로, 26,000로 무식하게 풀 수 있었다.

코드

let test = Int(readLine()!)!
var triangleNumbers = [1]
var result = [Int](repeating: 0, count: 1001)
var num = 1, count = 2
// 삼각수 구하기
while num <= 1000 {
    num += count
    triangleNumbers.append(num)
    count += 1
}
let length = triangleNumbers.count
// 중복 허용 3개의 요소 뽑기
for i in 0 ..< length {
    for j in i ..< length {
        for k in j ..< length {
            let number = triangleNumbers[i] + triangleNumbers[j] + triangleNumbers[k]
            guard number <= 1000 else { continue }
            result[number] = 1
        }
    }
}
// 결과 출력
for _ in 0 ..< test {
    print(result[Int(readLine()!)!])
}